본문 바로가기

프로젝트/Careers11

대규모 서버들의 세션 처리방법 들어가기기 앞서... 이전 포스팅에서 말씀드린대로 Scale out을 프로젝트에 반영하기로 하였습니다. 혹시라도 왜 Scale up이 아닌 Scale out을 선택하였는지 궁금하신 분들이 있으시다면 이전 포스팅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Scale out을 반영한다고 했는데 너무 막연했습니다. 뭘 어떻게 해야하지?? 일단 사용자의 요청부터 의식의 흐름대로 생각해 보도록 하였습니다. 대규모 트래픽을 감당하기위해 서버를 여러 대 두었고.. 그러면 사용자들이 로그인을 하고 A서버에 접근해서 데이터를 가져오고 그 다음 요청할때 A가 아닌 B서버에서 데이터를 가져오고.. 🤔....?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나? A서버로 로그인 요청을 처리해서 B 서버는 세션정보가 없는데..? 그럼 로그인 요청을 처리한 A서버 한테만 요.. 2021. 4. 29.
대규모 트래픽을 고려한 서버 확장 방법 요즘 제공되는 거의 모든 IT 서비스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와 통신을 하여 사용자에게 원하는 데이터를 제공해 줍니다. 이 말을 달리 표현하자면 사용자들의 요청에 비례하여 서버의 처리량은 증가할 수밖에 없습니다. 서버의 처리량 증가라는 말은 서버의 부하가 증가한다는 말과 동일하며 부하를 감당하지 못하는 서버는 사용자가 요청한 정보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없게 됩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Scale up, Scale out이란 개념이 있습니다. 이후 내용은 제가 토이프로젝트를 하면서 어떻게 고민하고 어떤방식을 도입하였는지 등의 고민들을 함께 나눠 보고자 합니다. 일단 진행하기에 앞서 간단하게 Scale up , Scale out에 대한 개념을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개념정리 Scale o.. 2021. 4. 6.